재테크를 시작하고 싶은데, 용어부터 어렵게 느껴지시나요? 저도 재테크 관련 글들을 읽을 때면 ‘복리’, ‘CMA’, ‘ETF’, ‘신용점수’ 같은 단어들이 알 듯 말 듯 헷갈리곤 합니다.
오늘을 재테크 입문자도 바로 이해할 수 있는 핵심 용어 10가지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.
1. 예금 vs 적금
예금은 목돈을 한 번에 넣고 일정 기간 동안 맡기는 것, 적금은 매달 일정 금액을 나눠 넣는 방식입니다.
- 예금 = 목돈 굴리기 (예: 1천만 원을 1년간 맡김)
- 적금 = 월급 저축 (예: 매달 30만 원씩 12개월 저축)
둘 다 이자가 붙지만, 예금이 일반적으로 금리가 더 높습니다.
2. 금리와 복리
금리는 은행이 돈을 맡긴 사람에게 주는 이자의 비율입니다.
그리고 복리는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.
- 단리: 원금에만 이자 계산
- 복리: 이자에도 이자가 붙음 → 눈덩이 효과
재테크의 기본은 복리의 힘을 오래 활용하는 것입니다.
3. CMA 통장
CMA(종합자산관리계좌)는 ‘이자가 붙는 입출금 통장’입니다.
- 일반 통장처럼 돈을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음
- 하루만 맡겨도 이자 발생 (보통 연 1~2%)
단기 자금이나 비상금 보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,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.
4. 신용점수
신용점수는 ‘돈을 잘 갚을 수 있는 사람인가’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.
- 보통 300~1,000점 사이
- 점수가 높을수록 대출, 신용카드 발급이 유리
정해진 날짜에 대출/카드값을 잘 갚고, 연체 없이 쓰는 것이 신용 관리의 핵심입니다.
5. ETF (상장지수펀드)
ETF는 ‘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펀드’입니다.
- 코스피200, 나스닥100 같은 지수 따라 움직임
- 주식 계좌에서 쉽게 거래 가능
- 소액으로 분산 투자 가능
초보자가 직접 종목을 고르기 어렵다면, ETF로 간접 투자를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.
6. ISA 계좌
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한 계좌에서 관리하고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- 예금, 적금, 펀드, ETF 모두 가능
- 일정 수익까지는 비과세 또는 세금 우대
- 근로자, 자영업자, 대학생 누구나 가입 가능
2025년부터는 ISA에 대한 혜택이 확대되고 있어 반드시 알아두면 좋습니다.
7. 부채비율
부채비율은 자산 대비 빚이 얼마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.
- 예: 자산 5,000만 원 / 부채 2,500만 원 = 부채비율 50%
- 부채비율 100% 이상이면 재무적으로 위험 신호
빚보다 자산이 많아야 안정적인 재무 상태입니다.
8. 복리 계산기 & 재테크 도구 추천
- 뱅크샐러드: 자산 통합관리
- 토스: 금융 상품 비교 & 신용 관리
- 네이버 복리 계산기
이런 앱과 도구를 활용하면 복잡한 용어 없이 실천 중심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.
'재테그 및 절약 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팡, 네이버, SSG... 온라인 쇼핑 최저가 사냥법 (1) | 2025.04.16 |
---|---|
자취생을 위한 현실적인 절약 꿀팁 모음 (2) | 2025.04.15 |
1년 동안 500만 원 저축한 사람들의 공통 습관 (2) | 2025.04.13 |
커피값 아껴서 연 100만 원 모으는 법 (1) | 2025.04.12 |
소비를 줄이는 심리 전략 7가지 (2) | 2025.04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