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 모집이 5월 2일부터 시작됐습니다.
정부 지원으로 최대 1,440만 원을 받을 수 있어 많은 청년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.
모집 인원은 총 4만 명, 신청 마감일은 5월 21일까지입니다.
아직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조건, 신청 방법, 정부 지원금까지 하나하나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.
1.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2. 신청 대상 조건
3. 정부 지원 혜택
4. 신청 기간 및 방법
5. 유지 조건
6. 중도 해지 시 절차
7. 청년도약계좌와의 차이점
1.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이 3년간 꾸준히 저축하면 정부가 매월 일정 금액을 더해주는 자산형성 지원제도입니다. 2022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까지 누적 가입자 12만 명을 넘었고, 올해는 4만 명을 추가 모집합니다.
2.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대상 조건
- 연령: 만 19세 ~ 34세 (1990.01.02 ~ 2006.01.01 출생자)
- 근로 중인 청년 (사업소득·근로소득이 존재해야 함)
- 근로소득 기준: 월 50만 원 초과 ~ 250만 원 이하
-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특례 대상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만 15~39세로 신청 가능하며, 가구 소득 기준은 적용하지 않습니다.
3.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혜택
- 일반 계층: 청년이 매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월 10만 원 정액 지원
- 특례 계층: 매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월 30만 원 지원
💡 예시:
- 일반 계층: 본인 360만 원 + 정부 360만 원 = 총 720만 원 + 이자
- 특례 계층: 본인 360만 원 + 정부 1,080만 원 = 총 1,440만 원 + 이자
- 또한 최대 연 5% 금리의 이자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.
4.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간 및 방법
- 신청 기간: 2025년 5월 2일(목) ~ 5월 21일(화)
- 신청 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
- 신청 후 소득·재산 조사 및 자격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
- 가입 기간(3년) 동안 근로 활동 유지
- 매달 본인 저축금 10만원 이상 적립
- 유지소득기준(소득 상한 충족)
- 자립역량(10시간) 교육 이수하기
- 자금사용계획서 제출하기(단, 지급 사유 발생 시에만)
6. 중도 해지 시 어떻게 되나요?
청년내일저축계좌를 3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하게 되면, 해지 사유에 따라 지급되는 금액이 달라집니다.
①지급해지 (일부 요건 충족 시)
- 해지 사유: 소득 증가로 기준 중위소득 100%를 초과하거나, 만기 전에 해지하는 경우
- 필수 조건:
- 자산형성 교육 10시간 이상 이수
- 자금사용계획서 제출
- 지급 내용: 본인 저축금 + 정부 지원금 전액 + 이자 모두 수령 가능
② 환수해지 (조건 미충족 시)
- 해지 사유:
- 12개월 이상 저축 미납
- 근로 중단 (실직, 장기 휴직 등)
- 자산형성 교육 미이수
- 자금사용계획서 미제출
- 지급 내용: 본인 저축금 + 이자만 지급, 정부 지원금은 전액 환수
③ 중도 해지 시 신청 절차
- 신청 장소: 자산형성포털 또는 주민센터
- 제출 서류: 해지신청서, 자금사용계획서
- 처리 절차: 신청 후 지자체 승인을 거쳐 하나은행에서 해지 처리
④ 대체 방법
- 적립 중지 제도: 실직, 휴직, 질병 등으로 저축이 어려운 경우, 최대 6개월까지 중지 가능
- 중도 인출 제도: 본인 적립금 일부를 인출할 수 있는 제도
7. 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차이점
구분 | 청년내일저축계좌 | 청년도약계좌 |
---|---|---|
출시 시기 | 2022년 | 2023년 |
지원 대상 | 저소득 청년 (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, 중위소득 100% 이하) | 중산층 청년 (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,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) |
정부 지원 방식 | 월 10~30만 원 정액 지원 | 소득 수준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 지급 |
만기 수령 | 3년 후 최대 1,440만 원 + 이자 | 5년 후 최대 5,000만 원 + 이자 |
중복 가입 | 두 계좌는 중복 가입 및 수급이 불가합니다!(단,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청년 중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또는 100% 이하 일 경우 중복하여 가입하실 수 있다는 것!) |
단기 목돈이 필요한 저소득층이라면 청년내일저축계좌, 복리 효과로 장기적으로 자산을 늘리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적합합니다.
정부가 최대 1,440만원을 지원해 주는 기회, 놓치지 마세요!
신청 기간은 2025년 5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입니다.
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,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지금 바로 신청해 보세요!
'복지 관련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대선 공약으로 주목받는 포괄임금제란? 장단점과 폐지 논란까지 총정리 (3) | 2025.04.30 |
---|---|
디딤씨앗통장이 뭐길래? 매칭금 혜택부터 만기 해지 방법까지 총정리 (1) | 2025.04.30 |
2025년 평생교육바우처(평생교육이용권) 총정리(신청대상, 신청기간, 사용처) (1) | 2025.04.25 |
2025년 중장년 경력 지원제 총정리(지원 자격, 지원 내용, 신청 방법) (3) | 2025.04.10 |
2025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금 40만원으로 상향 (0) | 2025.04.07 |